레버리지는 타인의 자본을 이용해 자기자본의 이익률을 높이는것을 말한다
타인의 자본이란 예를 들어 대출을 이용한다던가
회사에서 채권을 찍어 주주들에게 파는식으로 자본을 늘려 투자금으로 더 큰 이익을 보는것이다
레버리지를 지렛대 라고 하는 이유는 이렇다
만약 자신의 돈 1억에 9억 빚을 내 10억으로 아파트를 샀는데 그 아파트값이 1억 올랐다면 투자 수익률은 얼마일까?
자본 10억이 전부 내 돈으로 산거라면 10%의 이익을 본것이지만
여기서 들어가는 내돈은 1억을 내고 1억을 벌었으니 100%의 이익을 본것이나 다름없다
레버리지를 이용하면 지렛대처럼 적은 힘으로 커다란 수익을 발생 시킬수 있기때문에 지렛대 라고 부르는 것이다
이렇게 보면 굉장히 좋은것이고 달콤한 얘기처럼 들리지만 반대의 경우는 어떨까
아까의 경우에서 자신의 돈 1억에 9억 빚을 내 10억으로 아파트를 샀는데 아파트 값이 1억 떨어진다면?
자본 10억이 전부 내 돈이라면 -10%의 수익률이지만 내돈 1억에서 -1억이니 -100%의 수익률이 되는것이다.
(9억 대출과 이자까지 하면 슬프게도 아마 잔고가 마이너스가 될것이다)
이렇게 레버리지는 끌어모으면 좋은 수익률을 가져다 줄수도 있지만 높은 손실도 가져다 준다
레버리지 효과는 부채가 얼마나 있느냐에 따라 달라지는데 총 투자자금 을 내 돈으로 나눈숫자를 레버리지 비율 이라고 한다
이 비율은 이익과 손실이 이 비율값만큼 증폭된다는 뜻이다
언제나 투자는 마음대로 되지않으니 감당할수있는만큼 조심해서 이용하도록 하는게 좋을 것 같다
'경제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미국주식][ETF]S&P500 etf 어디에 투자할까 - (SPY, IVV, VOO) (0) | 2022.01.28 |
---|---|
[경제공부] [투자] 현금의 가치, 보유할까 말까? (0) | 2022.01.27 |
[미국주식][ETF] 금 ETF 투자 종목 알아보기 - (GLD, IAU, GDX) (0) | 2022.01.21 |
[경제공부][투자]자산배분 포트폴리오 만들기 - 사계절, 영구, 황금나비 포트폴리오 (0) | 2022.01.19 |
[경제공부][주식] 액티브 펀드와 패시브펀드의 차이점 / 10년간 투자했을때 어떤것이 더 좋은 결과를 낼까? (0) | 2022.01.08 |
댓글